- "사진여행으로 만나는 자랑스런 침례교인"
- 자랑스런 침례교인의 흔적을 사진을 통해 만나다

- 1. 케리는 어떻게 선교사의 꿈을 키워갔나?
-
-
-
- 윌리엄 케리는 선교사의 꿈을 실현하기 위해
오직 푯대를 향하여 달려간 기도하는 선교사, 준비하는 선교사,
결단하는 선교사였다!- 2. 왜 침례교선교회(BMS)가 케리의 선교에 중요했나?
-
-
- ※ 침례교선교회(BMS) 3인방은 누구인가?
침례교선교회(BMS) 3인방은 윌리엄 케리, 앤드류 풀러, 존 라이랜드 주니어를
말하는데 케리는 세계선교의 꿈을 이루기 위해 혼자 일하지 않고
함께하는 정신을 끝까지 지켰기에 ‘현대선교의 아버지’란 타이틀을 얻게 되었다!
- 3. 케리의 선교 장애물 BIG 3은 무엇인가?
- 극단적 칼빈주의자들의 선교 반대
- 아내 도로시의 분명치 못한 소명
- ※ 왜 도로시는 상처가 많은 선교사 일까?
1. 다섯 살 난 아들 피터를 잃어버린 아픔
2. 자식을 돌보지 못한 아픔
- 아들 피터가 죽은 후 자신 또한 정신착란증에 걸려 스스로 몸을 가눌 수 없어서 아들 4명을
돌보지 못했지만 한나가 도로시를 적극적으로 돌보아 주었음
3. 남편의 사역에 도움을 주지 못한 아픔
- 남편과는 달리 도로시는 선교사 소명이 약해서 남편 케리의 사역에 “방해꾼”으로 낙인찍힘 - 존 토마스의 잘못된 돈 관리에 따른 시련
- 멀리가려면 함께 가라고 했듯이
케리는 사람과의 장애물을 극복하며
팀웍의 진수를 보여준 자랑스런 침례교 선교사!
- 4. 윌리엄 케리를 ‘현대선교의 아버지’라 부르는 TOP 7 이유는 무엇인가?
- 선교신학의 잘못된 생각을 깨뜨리고 선교의 불을 지핌
- 침례교선교회(BMS)가 여러 국가에서 선교회 태동의 불씨가 되게 함
- 1792년 10월 2일 앤드류 풀러의 케터링교회 성도인
비비 왈리스(Beeby Wallis) 집에서 윌리엄 케리와 또 다른 13명의
사람들이 모여 침례교선교회(BMS)를 조직했고
이것은 훗날 여러 국가에서 선교회 태동의 불씨가 되어
19세기 ‘위대한 선교시대’를 여는 시발점이 되었다! - 학교를 설립해 현지인 지도자 양성에 공헌
- ※ 왜 세람포어 대학이 중요한가?
세람포어 대학은 1818년에 설립된 이후 1827년 덴마크왕이 세람포어 대학의
모든 학위를 수여할 수 있는 허가증을 줌으로 세람포어 대학은
‘인도 최초의 신학학위’를 수여한 대학이 됨
세람포어 대학의 초대 총장(1818-1832년)은 윌리엄 케리가,
2대 총장(1832-1837년)은 마쉬만이 역임 - 인도의 악습인 사티와 유아 살해를 금하는 사회개혁을 단행
- 현지인 교회를 세워 토착화 교회의 모델을 제시
- 성경번역을 통해 각 종족들이 자신들의 언어로 성경을 읽을 수 있도록 이끔
- ※ 왜 케리의 성경번역은 위대한가?
▲ 1809년 – 산스크리트어로 첫 번째 신약 출간
▲ 1909년 – 첫 번째 구약 출간
▲ 신구약 전체 8개 언어, 신약 27개 언어, 구약 일부는 10개 언어로 번역
▲ 30년 이상 총 212,000권의 성경이 세람포어출판사에서 40개 언어로 출간
▲ 세람포어 선교회가 40개 언어로 성경번역을 했는데 이 중 케리가 35개 언어로 번역 - 선교 사역의 중복과 경쟁을 피하는 에큐메니칼 모임 제안
- ※ 왜 윌리엄 케리는 현대 선교의 롤모델이 되었나?
케리가 성경번역, 대학교 설립, 사티제도와 유아살해 제도 폐지,
교회개척, 잡지 및 정기간행물 발행 등에 성공할 수 있었던 것은
‘전략’(strategy) 보다는 ‘정신’(spirit)이 좋았기 때문이다.
케리가 ‘가족 공동체’의 정신으로 세람포어 공동체를 꾸러 갔기에
그는 소명을 잃지 않고, 타인과 함께하는 높은 공존지수로
성공한 자랑스런 침례교 선교사가 되었다!